정부수요 많은 시장, 대전시 역할이 중요
지역 이름 붙인 브랜드 전략도 필요
4대 핵심전략 육성 포럼 토론회

2일 열린 대전 4대 전략산업육성 포럼에서 참가자들이 종합 토론을 벌이고 있다.
2일 열린 대전 4대 전략산업육성 포럼에서 참가자들이 종합 토론을 벌이고 있다.

대전이 우주항공 및 국방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일 대전과학산업진흥원에서 열린 포럼에서 토론자들은 대전이 우주국방산업을 육성할 조건은 갖춰졌다는데 대체로 동의했다.

그러나 기업입장에서 보면, “대전시가 무엇인가 역할을 해 줘야 할 때”라고 부탁했다.

언론관계자들은 “무엇을 하려는지 알기쉽게 이해시키지 못하는 것 같다”면서 “4대 전략 분야 중에서 한가지를 골라 중심축으로 삼아 육성하는 것이 좋겠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4개 분야 중에서 대전이 가진 차별성을 부각하려면 “우주과학을 축으로 삼는 방안”을 제안했다.

현재 K방산이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15년에서 20년 전 연구하고 개발하고 시험하고 우리나라 군에서 자주 사용한 결과가 이제 드러난 것’이다.

우주과학 역시 지금은 투자단계이기 때문에 세계시장에서 성과를 내려면 상당한 시간이 추가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단기간에 매출이 일어나고 고용이 늘어야 한다. 이 때문에 15년 뒤를 인내하는 중간 단계로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만한 단기 징검다리 목표 설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기업대표는 특히 대전시에서 무엇인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에는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대한항공 등 우주항공 관련 3개 기업의 연구소 및 생산시설이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일어나야 하는데, 우주 및 국방분야는 기업 자발적으로 매출을 늘리는데 한계를 느낀다. 왜냐하면 국가의 필요를 충족하거나, 국방 및 안보 관련된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우주산업은 ‘올드 스페이스’에서 ‘뉴 스페이스’로 전환하기 전의 ‘미들 스페이스’ 단계로 볼 수 있다.

이같이 아직은 정부 주도 사업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민간이 움직이기 시작한 단계이다. 우주사업이나 국방사업이 민간 기업 독자적으로 이익창출이 쉽지 않은 만큼, 정부의 지원과 과세정책 같은 대전시의 선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할 만한 프로젝트를 나눠서 ‘중소기업 쿼터제도’ 정책을 추진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장기 계획을 좀 더 세분화해서 대전에 있는 대기업을 위한 정책,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을 구분하는 방안이다.

공군 입장에서 보면, 최근 4년간 상전벽해(桑田碧海)라고 할 만큼 우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계룡대가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2일 열린 대전 4대 전략산업 육성포럼 토론회.
2일 열린 대전 4대 전략산업 육성포럼 토론회.

3군 본부에서 내려지는 결정에 빨리 접근해서 수시로 회의를 열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기 좋다. 우주항공국방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공군을 이용해달라”고 군 참가자는 말했다.

위성이나 발사체 등 우주 관련 프로젝트에 ‘대전’이나 ‘한밭’ 같은 지역 이름을 붙이는 것도 좋은 홍보전략이다. 우리나라 공군은 미국 우주군을 비롯해서 영국 및 호주 공군과 지난해부터 협력을 시작했다. 이들 국가는 미국이 구축한 ‘파이브 아이즈’ 참가국이다. 해외 공군과 협력할 네트워크가 구성된 것이다.

대전시는 11월 29일 ‘우주 산업 육성 비전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 선포식에서 발표될 내용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토론회에 참가한 패널들은 다음과 같다.

김건희 (한밭대 국방우주공학과 교수),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고정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무),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그룹장), 이동국 (두타기술 대표), 이현제 (중도일보 기자), 정명원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사업총괄실장), 황영민 (공군 우주정보협력과 중령)

저작권자 © WIP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